『어떻게 읽고 쓸 것인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4 17:24
본문
Download : 『어떻게 읽고 쓸 것인가』.hwp
3. 명확한 정도
-한 문장에서 정도의 차가 문제될 단어로 말미암아 뜻이 명확하지 않을 때 모호한 문장이라고 한다.
⑶ 긴밀한 연관
Ⅳ. 문의 세 가지 조건
1. 명확한 지시
-같은 말로 지시될 것이 여러 개 있는 것은 그 중 어느 것인지 한정하여야 할 것이고, 한정하는데 쓰이는 관형사 는 그것이 꾸미고 있는 말에 바싹 붙여 두는 것이 좋을 것이다. 또한 잠재적 비교를 하고 있는 상대적 형용사를 사용하여 문장을 지울 때 특히 모호성에 주의하여햐 한다.
1. 문의 논리적 연계
-논리적 연계는 글들이 서로 객관적으로 analysis·검증될 수 있는 관계를 지니고 있을 때나 문의 조직과 체재를 일 관되게 유지하는데 필요하다. 논리적 연과에 있어서 통일과 연관의 …(생략(省略))
어떻게읽고어떻게쓸것인가 , 『어떻게 읽고 쓸 것인가』감상서평레포트 ,
Download : 『어떻게 읽고 쓸 것인가』.hwp( 71 )
다.
-문장을 엮어 나갈 때 조직을 발전〔→〕, 보충〔←〕, 동격의 첨가〔+,=〕, 전환〔↓〕등의 부호를 써서 확인하 고 나아가게 되면 잘 엮어진 글을 쓸 수 있게 될 것이다.
2. 명확한 의미
-한 문장 속에 두 가지 이상의 의미를 지닌 단어나 어구가 이렇다 할 한정도 없이 쓰이면 불안한 글이 되고 만 다.
⑵ 대등구의 수
-대등구(절)의 수가 너무 많거나 지나치게 길면 글의 요점을 흐리게 할 위험이 있다아
2. 종속 접속의 복합문
⑴ 종속문의 비중
-종속문의 자리를 조절함으로써 종속문의 의미상 비중을 높일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겠다.






,감상서평,레포트
어떻게읽고어떻게쓸것인가
설명
『어떻게 읽고 쓸 것인가』
레포트/감상서평
순서
< 내용목차>
제1장/ 어구와 어법
Ⅰ. 단어와 어구
1. 어구의 정이
2. 단어의 두범주
⑴ 내용단어
⑵ 구조단어
Ⅱ. 어법의 여러국면
제2장/ 문
Ⅰ. 문의 정이와 사상
1. 문의 정이
2. 문과 사상
Ⅱ. 단순문
1. 주어의 자리
2. 주어(부)의 길이
3. 주술관계의 호응
4. 완전한 대구관계
5. 지시어가 야기하는 모호성
Ⅲ. 복합문
1. 대등접속의 복합문
⑴ 독립구의 비중
⑵ 대등구의 수
2. 종속접속의 복합문
⑴ 종속문의 비중
⑵ 종속문의 조절
⑶ 긴밀한 연관
Ⅳ. 문의 세 가지 조건
1. 명확한 지시
2. 명확한 의미
3. 명확한 정도
Ⅴ. 문의조직과 체재
1. 문의 논리적 연계
⑴ 전이 어구의 활용
⑵ 동일 어구의 활용
⑶ 어순의 조절
2. 문의 연상적 연계
제3장/ 단락
Ⅰ. 단락과 소주제문
Ⅱ. 소주제문
1. 소주제문의 작성
Ⅲ. 단락의 전개
1. 복수관념과 기본구성
2. 기본구성의 핵분열
3. 원자관념의 배열
Ⅳ. 단락의 연관
1. 체제와 조성
2. 단락의 연관
⑴ 논리적 연관
⑵ 연상적 연관
Ⅴ. 단락구조의 실제
1. 퇴적구조를 내포한 승층구조
2. 표출된 연관과 함축된 연관(1)
3. 표출된 연관과 함축된 연관(2)
4. 종속구조와 병립구조
Ⅲ. 복 합 문
1. 대등 접속의 복합문
⑴ 독립구의 비중
-‘그리고’ ‘그러나’로 이어지는 독립구는 서로 갖는 의미의 비중이 분명해야 한다.
⑵ 종속문의 조절
-복합문의 경우 항상 강조코자 하는 주요 관념이 무엇인가를 확인해야 할 것이다.
Ⅴ. 문의 조직과 체재
-한 문과 다음 문만의 이음새를 ‘조직’이라고 하고, 여러 이음새가 어울려 단락을 엮고 있는 관계를 ‘체재’라고 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