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효용성의 측정기준(타당도: 기준타당도 · 내용타당도 · 구성타당도)을 설명하시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3 16:08
본문
Download : 시험효용성의 측정기준.hwp
상관관계(상관계수)가 높을수록 시험이 직무수행능력을 제대로 측정(measurement)한 것이므로 기준타당도는 시험이 직무수행능력을 얼마나 정확하게 측정(measurement)하느냐를 의미한다.





다. 구체적으로 기준타당도(criterion validity),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구성타당도(construct validity)를 의의, 검정방법, 평가등으로 구분하여 정리하였습니다.
③ 평가: 가장 이상적이나 기술적 제약 등 한계가 있다아
1. 기준타당도(criterion validity)
기준타당도, 내용타당도, 구성타당도
구성타당도(construct validity)를 의의, 검정방법, 평가등으로 구분하여 정리(arrangement)하였습니다.
1. 기준타당도(criterion validity)
순서
3. 구성타당도(construct validity)
시험효용성의 측정기준(타당도: 기준타당도 · 내용타당도 · 구성타당도)을 설명하시오.
ⓐ 시험성적과 비교할 직무수행실적의 기준을 타당하게 결정하기가 어렵다. 둘 간의 상환관계를 측정(measurement)하려면 예측치와 기준에 대한 측정(measurement)치가 필요한데 예측치는 시험점수를, 기준에 대한 측정(measurement)치는 근무실적 · 이직률 · 결근율 등을 사용하게 된다된다.
가장 먼저 개발되고 일반화된 타당도의 경험적 concept(개념)으로 측定義(정이) 가장 궁극적인 목적달성과 관련된다된다.
② 검증방법
2.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 예측적 타당도: 합격한 수험생의 시험성적과 나중의 업무실적을 시차를 두고 비교함으로써 직접 검증하는 방법으로 시험을 실시하는 시점에서는 타당도를 파악하기 어렵고 검증에 시간이 걸리며 성숙效果(효과)나 기준오염 착오(평가자가 검증대상자의 성적을 미리 알 경우 평가에 影響) 등을 분리해 내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아
ⓒ 채용시험 합격자의 성적을 미리 알면 기준오염의 착오가 발생한다. 즉, 시험성적과 업무실적의 상관관계가 높을수록 기준타당도가 높다. 이는 시험성적과 본래 시험에서 예측하고자 했던 기준 사이에 얼마나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느냐에 대한 것이다.
시험효용성의 측정기준(타당도: 기준타당도 · 내용타당도 · 구성타당도)에 대해 요약, 정리(arrangement)하였습니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시험효용성의 측정기준(타당도: 기준타당도 · 내용타당도 · 구성타당도)에 대해 요약, 정리하였습니다. 구체적으로 기준타당도(criterion validity),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시험효용성의 측정(measurement)기준(타당도: 기준타당도 · 내용타당도 · 구성타당도)
Download : 시험효용성의 측정기준.hwp( 26 )
ⓑ 채용인원수나 재직자의 수가 적어 유의미한 통계학적 표본을 확보할 수 없을 때 사용이 곤란하다.
① 의의
설명
ⓑ 동시적(현재적) 타당도: 시험을 재직자에게 실시하여 현재의 업무실적과 시험실적을 비교함으로써 간접 검증하는 방법으로 검증하는 데 시간이 걸리지는 않지만, 재직자가 표본으로서의 대표성을 갖지 않는 경우와 성실히 응하지 않을 경우 타당도를 확보하기 곤란하다. 이는 시험성적과 직무수행실적이라는 기준, 두 요소 간의 상관계수로서 측정(measurement)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