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이 창제되기 전의 조상들의 문자생활 - 이두, 향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9 01:30
본문
Download : 훈민정음이 창제되기 전의 조상들의 문자생활 - 이두, 향찰.hwp
▪ 이두.
1. 초기 이두 표현
2. 후기 이두 표현
▪ 향찰
▪ 結論(결론)
한자를 빌려 우리말을 표기하는 것은 단순하게 우리말의 발음을 한자음으로 바꾸는 작업이 아닐것이다. 유용한 내용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참고하셔서 좋은 성과 받으시길 바랍니다. 임신서기석의 표기법보다 발달된 것을 알 수 있다아
이러한 초기 이두에서 많이 쓰이는 문법적인 요소들은 간단한 한 글자로 정하고 한자에 비해 단어의 음절수가 많은 우리말을 일일이 음표기하는 대신에 그에 맞는 뜻의 한자어로 대체 하거나 반은 뜻을 대체하고 반은 음을 대체하는 식으로 발전해 나간다. 이 방법은 가장 단순한 방법인것 같으나 우리말과 대응하고 있는 한자음이 실제로 지금과 같은 발음이었는가 하는 것…(투비컨티뉴드 )
순서




훈민정음이창제되기전의조상들의문자생활-이두향찰
훈민정음이 창제되기 전의 조상들의 문자생활 - 이두, 향찰
설명
훈민정음이 창제되기 이전 한자차용 표기법으로서의 이두, 향찰에 대한 간략한 레포트입니다.
1. 초기 이두 표현
(여기서 `표시가 된 한자가 이두토 한자이다)
경주 남산신성비 비문의 내용(591) 이두토 以와 敎의 쓰임을 알 수 있다아
남산신성비 역시 한자를 우리말 어순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그와 더불어 임신서기석과는 달리 문장 component들을 연결하는 토를 한자로 표기하고 있는 점을 알 수 있다아 여기에서 쓰인 以는 `-으로`를 나타내고, 敎는 `-게 하다`의 사역을 나타낸다.,기타,레포트
Download : 훈민정음이 창제되기 전의 조상들의 문자생활 - 이두, 향찰.hwp( 94 )
훈민정음이 창제되기 이전 한자차용 표기법으로서의 이두, 향찰에 대한 간략한 레포트(report) 입니다.
2. 후기 이두 표현
(여기서 `표시가 된 한자가 이두토 한자이다.
강원도 양양군 서면 미천리 선림종지에서 발견된 종의 안쪽에 새겨진 비문으로 토의 다양한 표현이 눈에 띤다. 그래서 `고라부리`라는 우리지명은 古 夫里로 표기하는 것 등이다. 하지만 삼국시대에 우리말을 표기할 수 있는 다른 문자 체계를 가지지 못한 설정에서 한자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기 때문에 이런 한자를 어떻게 하면 우리나라의 언어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 문제였을 것이다. . 단순히 우리말을 한자음으로 바꾸려고만 했다면 낱말하나하나마다 필요한 한자를 모두 대체하여야 하는데, 그렇다면 그 표기 과정이 굉장히 번거로울 것은 자명하다. 참고하셔서 좋은 성과 받으시길 바랍니다. 훈민정음이창제되기전의조상들의문자생활-이두향찰 , 훈민정음이 창제되기 전의 조상들의 문자생활 - 이두, 향찰기타레포트 ,
레포트/기타
다. 그런 면에서 한자는 표기하기 위한 문자로 적절하다고 볼 수 없다. 유용한 내용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신라인들은 먼저 한자음의 또는 비슷한 음을 가진 한자도 우리말을 표현했다. 한 언어를 표기할 수 있는 문자로 살아남은 문자들은 간단한 형태를 취하며 또 글자 수도 매우 적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