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시레 설화의 성격에 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01 18:49
본문
Download : 고시레 설화의 성격에 관한 연구.hwp
이 글은 민간신앙인 고시레의 성격을 규명하기 위한 작업의 하나로 『한국구비문학대계』에 조사되어 있는 36편의 설화 data(資料)를 논의의 대상으로 하여 설화들을 내용에 따라 검토해 보고, 구조를 analysis(분석) 한 후, 고시레 설화가 가지고 있는 성격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들은 고시레의 성격 규명을 위해 중요한 것들이다. 다만, 이 data(資料)들을 살펴보면 고시레 설화가 거의 전국에서 조사되고 있으나, 지역에 따라…(省略)
고시레 설화의 성격에 관한 연구
레포트/생활전문
,생활전문,레포트
Download : 고시레 설화의 성격에 관한 연구.hwp( 18 )
다. , 고시레 설화의 성격에 관한 연구생활전문레포트 ,
순서






Ⅰ. 머리말
Ⅱ. 고시레 설화 검토 및 analysis(분석)
Ⅲ. 고시레 설화의 성격
1. 행위의 타당 說明(설명)
2. 제의(祭儀)의 잔영
Ⅳ. 맺음말
이러한 믿음의 행위 중의 하나로 고시레라고 하는 것이 있는데, 들에 나가서 음식을 먹기 전에 그 음식을 조금 떼어 ‘고수레’라고 외치면서 허공에 던지는 민간 신앙을 ‘고수레’ 혹은 ‘고시래’, ‘고시레’라 한다.
설명
이 글에서는 고시레 설화에 나타난 의미를 살펴보기 위해 『한국구비문학대계』에 실려 있는 36편의 자료를 대상으로, 그 구성을 살펴보고 일반적인 설화의 모습을 설정해 보았고, 이를 통해서 고시레 설화가 갖는 성격을 규명해 보았습니다. 또한 음식을 받아 대상 자체를 일컫는 말이기도 하다.
지금까지 ‘고시레’에 대해 그 어원을 밝히거나, 설화의 성격을 간략하게 說明(설명) 하고, 풍수설화 등으로 인식하여 살펴보는 작업들이 있어 왔다. 그러나, 민간 신앙적 성격이 강한 고시레는 설화의 어원이나 성격뿐만 아니라 신격(神格)이나 무속에 나타나는 의례 행위 등 고시레와 관련된 전반적인 것들을 모두 아울러야만 그 성격을 정확히 파악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고수레’라고 하는 것은 음식을 던지면서 하는 소리를 일컫는 말이기도 하고, 음식을 던지면서 ‘고수레’라고 말을 하는 행위 전체를 지칭하는 말이기도 하다.이 글에서는 고시레 설화에 나타난 의미를 살펴보기 위해 『한국구비문학대계』에 실려 있는 36편의 자료(資料)를 대상으로, 그 구성을 살펴보고 일반적인 설화의 모습을 설정해 보았고, 이를 통해서 고시레 설화가 갖는 성격을 규명해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