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노동운동 종말인가 재생인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3 10:56
본문
Download : 한국 노동운동 종말인가 재.hwp
그러나 외부의 요인은 어디까지나 외부의 조건일 뿐이다. 變化(변화)하는 상황에 탄력 있게 대응하여 살아남아 풍성한 열매를 맺느냐 아니면 도태되어 멸종되느냐 하는 것은 거의 모두 주체의 문제이다. 노동운동은 ‘때 늦은 개화, 때 이른 조락’이라는 표현을 할 정도로 운동으로서의 정당성 위기와 존폐의 위기에 놓여 있다 한국의 민주노동운동은 ‘가진 소수의 비도덕성’을 질타하며 일어섰다. 이 같은 위기 상황의 까닭을 국가와 자본의 탄압 또는 노동운동에 대한 적대행위 탓으로 돌리는 것은 물론 수긍할 수 있는 손쉬운 책임회피의 답변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21 세기(世紀) 에 들어서서 한국의 노동운동은 위기를 걱정하는 수준을 넘어 어느새 ‘또 다른 가진 소수’의 운동으로 바뀌었다는 비판까지 받고 있다 대기업 정규직 남성 노동자 중심의 민주노총은 오히려 기득권 세력으로 매도되기도 하고 이에 대해 동조하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다는 것은 이제 공공연한 사실이 되었다.오늘날 한국 노동운동은 어떠한 처지에 놓여 있는가. 과연 그동안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노동자들이 목숨을 잃거나 감옥에 갇히거나 해고되면서 얻고자 했던 ‘노동해방’과 ‘인간다운 삶’을 얻었다고 말할 수 있는가. 연례행사처럼 임금인상․단체협약 투쟁을 되풀이해 온 한국 노동운동이 과연 민주노총의 선언과 강령이 명시하고 있듯이 ‘사회개혁과 歷史(역사)발전의 주체로서’ ‘전체 국민의 삶의 질을’ improvement하고 있는가. 이 같은 물음에 “예”라고 대답할 사람은 아마도 거의 없을 것이다. 위기의 1차 Cause 은 노동운동 자체의 내부 요인에 있다
사회운동 노동운동 한국노동운동 노동자 / (사회)
순서
Download : 한국 노동운동 종말인가 재.hwp( 50 )





사회운동 노동운동 한국노동운동 노동자 / (사회)
사회운동 노동운동 한국노동운동 노동자
설명
한국 노동운동 종말인가 재생인가
다. 그리고 이 문제에 관한 한 다수의 사회 구성원으로부터 지지를 받아왔다. 더구나 노동운동은 ‘왕자병 환자’로 치부되는 경향 아래 자신을 옹호해주는 어떠한 사회세력도 없는 고립무원의 상태에 갇혀 있는 실정이다. 이는 단순히 자본 측과 보수언론의 왜곡된 보도 때문만은 아니다. 1987년 여름의 노동자대투쟁으로부터도 벌써 20년 가까운 세월이 흘렀다. 1970년 민주노동운동이 전태일의 분신이라는 참혹한 통과의례를 통해 다시 태어난 지도 벌써 30여 년이 지났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1950년 300만 명 이상의 사람이 죽고 노동운동을 비롯한 사회운동 또한 아예 초토화되어 버렸던 한국전쟁이 일어난 지 벌써 반세기가 지났다. 노동해방과 인간다운 삶은 아직도 멀고 먼 피안일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