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해외진출 `선단형` 확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2 15:01
본문
Download : 2007022.jpg
산업자원부는 27일 이 같은 내용을 토대로 10개 부처와 유관기관 등이 함께 마련한 ‘기업의 해외 진출 지원方案’을 확정했다. 한국무역협회 내에 ‘해외진출전략컨설팅팀’도 신설한다.기업 해외진출 `선단형` 확대
설명
산자부 관계자는 “환율 문제를 야기하는 외환보유액의 과잉 문제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政府(정부)가 기업의 해외 진출을 돕는 전담지원조직을 신설하고 여러 산업군을 통합한 선단형(패키지형) 해외 진출 모델도 적극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오영호 산자부 제1차관은 이날 “기업의 해외 진출은 국부 유출, 제조업 공동화 등의 우려도 있지만 국산 부품과 중간재 수출 촉진, 고용 확대 등 경제에 긍정적 효율가 더 크다”며 “해외 진출을 새 성장동력으로 삼아 경제 활력을 회복하는 게 시급하다”고 말했다.
레포트 > 기타
政府(정부)는 우선 오는 4월 KOTRA 내에 전담조직 ‘글로벌코리아’를 신설해 진출국의 시장과 투자environment 등에 대한 상담을 제공하며, 관련부처 공무원과 수출保險(보험) 공사·중소기업진흥공단 등 지원기관 관계자가 근무하는 ‘민관합동 해외진출종합상담팀’을 둘 계획이다.
순서





기업 해외진출 `선단형` 확대
해외기업 투자 유치 중심의 대외정책이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도 적극 추진하는 균형유지 방향으로 바뀐다.
한편 지난 2005년 말 기준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해외직접투자 비중은 4.5%로 日本 16.3%, 미국 16.4%, 영국 56.2% 등에 비해 절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다.
Download : 2007022.jpg( 21 )
기업 해외진출 `선단형` 확대
기업 해외진출 `선단형` 확대
해외 진출 모델로는 나이지리아(자원개발+산업협력), 알제리(경제개발 경험 전수+프로젝트 수주) 등에서 입증된 패키지형을 확대하기로 했다. 해외기업 투자 유치를 지원해온 기존의 인베스트코리아와 정반대의 업무를 하게 되는 셈이다.
政府(정부)는 이번 지원方案을 기점으로 해외기업 투자 유치 중심이던 대외 정책방향을 수정해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도 균형있게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범부처 차원의 해외 진출 정책을 종합·조정할 해외진출협의회(위원장 경제부총리)와 해외진출실무협의회(위원장 산자부 차관)도 가동키로 했다. 김승규기자@전자신문, seung@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