未來(미래)의 교육철학 分析(분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8 07:16
본문
Download : 20021203153815_미래.hwp
그러면서 그는 구안법의 네 가지 형태로서 구성적 또는 창조적 구안, 감상 또는 즐거움을 위한 구안, 문제구안, 그리고 연습 또는 특수학습 구안을 제시 하였다.
신득렬(1980), 교육철학의 평가, ≪교육철학≫ 제 2호, (한국교육철학회, 1980).
셋째, 살기 좋은 생활과 좋은 문화를 통해서 훌륭한 인격을 지니도록 해야 한다고 하였다. 킬패트릭은 인류문화의 발달을 인간성격의 신성성(神聖性), 비판적 사고, 실험적 과학의 단계의 세 단계로 나누어 설명(說明)하였다. 또한 그는 여기서 바람직한 인격형성을 위한 일곱 가지 생활 및 학습의 원리를 제시하였다. 또한 이는 조상들이 후손들로 하여금 보다 나은 생활방식을 할 수 있도록 공헌한 것이라고 본다.
손인주·정재철(1986), 교육사, (서울:교육출판부)
-分析철학
Download : 20021203153815_미래.hwp( 63 )
김정환(1987), 교육철학, (서울:박영사)
Alvin Toffler, 이규행 역(1989), 未來(미래)충격, (서울:한국경제신문사)
조경원 외 4명(1979), 교육학의 이해, (서울: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순서
()
한명희(1989), 교육철학, (서울:배영사)
둘째, 문화란 사회적 유산을 뜻하는 것으로 ‘누적된 문명의 자본’이다. 그래서 그가 강조하는 교육이란 목적지향적 활동을 통한 인격교육으로 요약된다 그가 제시한 교육의 중심 정이 들을 간략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재건주의
5.未來의 교육철학을 위하여
다. 그에 의하면 구안법은 ① 목적을 고정시키며, ② 과정을 안내하며, ③ 충동 또는 동기를 제공한다고 하였다.
이는 준비성의 법칙, 연습의 법칙, efficacy의 법칙에 의거하여 理論화 된 것이다.
未來(미래)의 교육철학 分析(분석)
⑴ 바람직한 인격형성을 위해 개인은 그 環境 속에서 살고, 그와 같은 방식으로 행동해야 한다.
교육철학 미래교육 교육학
1.글머리에
첫째, 생활이란 ‘살기 좋은 생활’을 의미하는 것으로 물질적이 아닌 도덕적으로 살기 좋다는 것과 만족을 주는 생활을 의미한다.
Robert Ulich, 차석기 역(1984), 교육철학, (서울:집문당)
윤천주(1979), 교육사, (서울:서울대학교출판부)
설명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교육철학 未來(미래)교육 교육학 / 김동구(1988), 교육철학, (서울:문음사)
신용국(1993), 교육사상사, (서울:양서원)
⑵ 개인은 이와 같은 새로운 행동을 자기 것으로 받아 들여야 한다.
-진보주의와 교육
2.교육의 철학적 배경





4.새로운 의식구조
한편 그는 교육의 중심정이 으로 생활, 문화, 인격, 그리고 지성을 제시하였다.
3.未來사회의 정신적 교육적 環境
김신일(1985), 교육사회학, (서울:교육과학사)
손인주(1994), 교육사 교육철학 연구, (서울:문음사)
교육철학 미래교육 교육학 / 김동구(1988), 교육철학, (서울:문음사) 김신일(1985), 교육사회학, (서울:교육과학사) 김정환(1987), 교육철학, (서울:박영사) 배규한(1995), 미래사회학, (서울:사회비평사) 손인주(1994), 교육사 교육철학 연구, (서울:문음사) 손인주·정재철(1986), 교육사, (서울:교육출판부) 신득렬(1980), 교육철학의 평가, ≪교육철학≫ 제 2호, (한국교육철학회, 1980). 신용국(1993), 교육사상사, (서울:양서원) 윤은기(1990), 정보력과 휴먼웨어, (서울:유나이티드컨설팅그룹) 윤천주(1979), 교육사, (서울:서울대학교출판부) 이원호(1983), 교육사, (서울:배영사) 조경원 외 4명(1979), 교육학의 이해, (서울: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한명희(1989), 교육철학, (서울:배영사) Alvin Toffler, 이규행 역(1989), 미래충격, (서울:한국경제신문사) Robert Ulich, 차석기 역(1984), 교육철학, (서울:집문당) ()
배규한(1995), 未來(미래)사회학, (서울:사회비평사)
이원호(1983), 교육사, (서울:배영사)
-실존주의와 교육
윤은기(1990), 정보력과 휴먼웨어, (서울:유나이티드컨설팅그룹)
참고문헌 킬패트릭(William H. Kilpatrick)은 듀이가 실험학교에 도입한 문제해결학습(problem solving method)을 발전시켜 「구안법」(The Project Method)을 적용한 인물로 구안법이란 사회環境 속에서 전심전력을 다하는 목적지향적 활동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