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시대별 도서관 기능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9 20:21
본문
Download : 동양시대별 도서관 기능고찰.hwp
전통적인 도서관이 문헌 資料의 보존을 위주한데 비해 근대 도서관은 이용을 제일의 사명으로 생각하는 적극적인 자세를 지니게 되었다. 그 명칭에 있어서도 종래에 ○○부, ○○각, ○○고, ○○원 등으로 불리우던 것이 광무10년(1906) 대한 도서관을 시발점으로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도서관으로 불리우게 되었다.
1.개화기
1)대한 도서관
초기에 각종 명칭으로 불리다가 광무 10년(1906) 서울에 대한 도서관이 설치되면서 처음으로 도서관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다.최종본 , 동양시대별 도서관 기능고찰공학기술레포트 ,
동양시대별 도서관 기능에 관해 고찰한 data(資料)입니다.
19세기 말엽부터 개화파 인사들에 의해 처음 된 한국의 근대화는 서구식 근대 도서관 사상을 싹트게 했다.
황성신문에 도서관 설립을 촉구하는 기사가 실리면서 각계 인사로부터 많은 도서의 기증이…(省略)
동양시대별 도서관 기능고찰
다.






Download : 동양시대별 도서관 기능고찰.hwp( 15 )
레포트/공학기술
최종본
설명
,공학기술,레포트
순서
-서론-
-중국(中國) 도서관사-
1. 고대(殷은 나라 시대/B.C 1300~)
2. 周주 나라
3. 춘추 전국시대
4. 秦진 나라
5. 漢한대(전한-신-후한)
6. 南北朝남북조시대
7. 唐당나라
8. 5대10국
9. 宋송나라
10. 元원나라(금, 남송-원)
11. 明명나라
12. 淸청나라
13. 중국(中國)
-한국 도서관사-
1.고조선과 한사군 시대
2.삼국시대
3.고려시대
4.조선시대
-근대의 한국 도서관-
*근대 도서관의 의미*
근대 도서관이라 하면 근대적 사회상과 밀접하게 관계된다 고대 사회에 있어서의 왕이나 귀족, 부호들의 이른바 특권층의 점유물이거나 중세 봉건사회에서의 종교의 독점물이 아닌, 시 민 사회의 모든 계층에 골고루 봉사하는 도서관이 근대 도서관의 본질적 성격이다.
동양시대별 도서관 기능에 관해 고찰한 자료입니다.